야구이야기

벤치클리어링, 야구에서만 볼 수 있는 ‘감정의 폭발’

구기자® 2025. 5. 14. 16:54
728x90

안녕하세요 :)

 

야구는 흔히 ‘기다림의 미학’, ‘데이터의 스포츠’로 불려요ㅎㅎ
하지만 때로는 냉정함을 넘어서,

모든 선수가 감정적으로 한순간에 폭발하는 장면도 존재하죠!
바로 벤치클리어링(Bench-clearing)이에요 :D

 

이 장면은 단순한 충돌이 아니죠!
그 안엔 불문율, 자존심, 동료애, 규정, 문화가

겹겹이 얽혀 있어요ㅎㅎㅎ


이번에는 ‘벤치클리어링’이라는 현상을

정의부터 원인, 실제 과정, 규정 차이, 문화적 의미까지
모두 알아보도록 할게요!

 

함께 살펴볼까요?

 


 

🧨 1. 벤치클리어링(Bench-clearing)이란?

24시즌 한화-kt 경기 종료 후 발생한 벤치클리어링 / 이미지 출처 : 뉴스원

 

벤치클리어링은 직역하면 ‘벤치를 비우다’라는 뜻입니다.
야구에서 벤치클리어링이란,

양 팀 벤치에 있던 선수들과 코칭스태프들이 모두 그라운드로 뛰쳐나오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핵심 정의

  • 직접적인 신체 접촉(싸움)이 없어도, 선수들이 모두 뛰쳐나오면 벤치클리어링
  • 주심이 경기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상황을 정리하는 수준이면 벤치클리어링으로 인정됨

❗ 흔한 오해

  • ❌ 벤치클리어링 = 싸움 → 잘못된 인식
  • ✅ 싸움은 ‘벤치클리어링 중 발생할 수 있는 하나의 수위’일 뿐

💢 2. 벤치클리어링은 왜 발생하는가?

야구는 종종 불문율 위반이나 감정적 도발에 따라 격렬한 반응이 일어납니다.
다음은 실제로 벤치클리어링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1) 빈볼, 특히 머리 쪽 투구

  • 타자의 몸을 향해 날아오는 공은 명백한 위협
  • 특히 머리(헤드샷)를 향한 투구는, 고의가 아니어도 즉각 벤치 반응 유발
    → “우리 선수가 위험한 상황을 겪었는데 가만히 있을 수는 없다”는 반응이 나옴

💥 (2) 과도한 세리머니

  • 홈런 후 배트플립, 느린 베이스 러닝, 삼진 후 고함치는 행동
    → 상대 팀은 이를 조롱 혹은 도발로 받아들임

⚡ (3) 슬라이딩 충돌, 태그 플레이

  • 2루에서 거친 슬라이딩, 홈플레이트 충돌, 태그 시 과도한 접촉 등은
    ‘부상 위험’을 불러오기 때문에 벤치가 강하게 반응함

🕵️ (4) 사인 훔치기 의심

  • 타자가 타석에서 포수 사인을 훔쳤다거나, 주자가 투수의 사인을 엿본 경우
    → 상대는 이를 부정행위로 간주하고 격렬히 항의함

👄 (5) 벤치의 도발적 언행

  • 벤치에서의 고성, 조롱, 특정 선수 겨냥 멘트 등은 감정선을 건드리는 요소
    → 코치, 감독이 직접 뛰어나오는 계기로 작용

🔍 3. 벤치클리어링의 실제 흐름 : 어떻게 진행되는가?

23시즌 ALCS 5차전 휴스턴-텍사스 사이에 벌어진 벤치클리어링 / 이미지 출처 : 뉴시스

 

벤치클리어링이 발생하면 경기장 안팎에서는 다음과 같은 일이 동시에 벌어집니다.

 

🏃‍♂️ 선수단 행동

  • 벤치에 있던 모든 선수들이 상황에 따라 자율적이 아닌 반응적으로 뛰쳐나감
  • 가담하지 않으면 ‘동료 보호 의지 없음’, ‘팀워크 결여’라는 시선을 받을 수 있음
    → 특히 KBO에서는 구단 자체 벌금이나 비공식 제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음

🧓 감독·코치진 역할

  • 선두에서 말리는 사람, 또는 가장 앞장서 항의하는 사람이 감독이 되기도 함
  • ⚠️ 과거에는 코치진이 더 과격한 언행으로 불붙이는 경우도 많았음

🎥 중계와 관중

  • 중계에서는 충돌의 발단이 된 장면(빈볼, 세리머니, 슬라이딩 등)을 슬로우 리플레이로 되짚으며
    상황의 흐름을 정리한다.
  • 관중은 흥분하거나 우려하며, 경기장이 극단적으로 긴장된 분위기로 변함

📝 이후 진행

  • 심판은 항의/도발/신체 접촉 주체를 식별해 퇴장 및 징계 조치
    → 징계는 리그마다 차이 있으며, 구단 내부에서도 따로 징계가 있을 수 있음

⚖️ 4. 규정과 문화의 차이 : KBO vs MLB

토론토 바티스타와 텍사스 오도어 사이에 벌어진 난투극 / 이미지 출처 : AP연합뉴스

 

벤치클리어링은 KBO와 MLB 모두 존재하지만, 같은 상황에 대한 반응과 제재는 다릅니다.
다음은 동일한 상황 기준의 비교표입니다.

상  황 🇰🇷 KBO 🇺🇸 MLB
① 단순 벤치클리어링
(양 팀 그라운드 집결)
대부분 무징계
(공격적 제스처 없으면 종료)
무징계
(심판이 주시하고 종료 유도)
② 신체 접촉·몸싸움 발생 상벌위 판단 → 출전정지+벌금 즉시 퇴장 → 출장정지+벌금
③ 고의 빈볼로 유발된 경우 투수·감독 모두 징계 가능
(정황 판단 중심)
사전 경고 시 자동 퇴장
(경우에 따라 포수도 포함)
④ 도발적 행동
(제스처, 욕설 등)
선수가 중심이 된 경우 징계 대상
(수위에 따라 가중)
심판 재량으로 퇴장 → 리그 징계 연계
⑤ 가담 거부·불참 선수 일부 구단은 내부 징계·질책 가능 가담 자율. 징계 없음

📌 KBO는 팀 단결 중시, MLB는 ‘심판 권위’ 중심
📌 MLB는 보복 가능성이 높으면 사전 경고를 심판이 선언하고, 이후 재발 시 즉시 퇴장


🧠 5. 벤치클리어링은 꼭 나쁜 것일까?

🙅 부정적 해석

  • 야구에 대한 폭력적 이미지 확산
  • 경기 지연, 부상 위험
  • 어린 팬, 가족 단위 관객에겐 부정적 인상

🤝 긍정적 해석

  • 동료를 지키려는 의지, 팀워크 표현
  • 팬 입장에서는 “우리 팀이 맞섰다”는 강한 결속감의 장면
  • 흐름이 안 좋은 팀에게 분위기 반전의 계기로 작용

실제로 많은 감독들이 이렇게 말합니다.

“벤치클리어링은 절제돼야 하지만, 동료가 맞았을 때 아무도 안 뛰어나오면 더 큰 문제다.”

 


 

‘벤치클리어링’은 폭력 그 자체로 규정할 수 없는

야구만의 문화예요!


자존심, 불문율, 팀에 대한 헌신이 뒤섞인 이 장면은

야구가 단순한 기록에만 의존하는 스포츠가 아님을 증명하죠ㅎㅎㅎ

 

경기 규칙이 아니라,

사람의 감정과 관습이 만들어낸 충돌!


그래서 벤치클리어링은 매번 같은 상황이 반복돼도

결과는 전혀 다르게 흘러가죠 :D

 

야구를 제대로 이해하고 싶다면,

‘왜 싸웠는가’를 보는 눈이 필요해요!
그 안에 진짜 야구가 숨겨져 있어요ㅎㅎㅎ

 

감사합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