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
야구에서 구원 투수는
단순히 던지는 역할을 넘어,
팀의 리드를 지켜내는 핵심 자원이에요!
이를 수치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기록이 바로
세이브(Save)와 홀드(Hold)입니다 :D
이번에는 이 두 기록이 어떤 조건에서 기록되는지,
그리고 실전에서 혼동하기 쉬운 포인트까지
정리해볼게요ㅎㅎㅎㅎ
함께 살펴볼까요?
✅ 세이브(Save)란?
세이브는 팀이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등판한 구원 투수가 그 리드를 지키며 경기를 마무리할 때 주어지는 기록입니다.
단순히 이기고 끝냈다고 무조건 세이브가 되는 게 아니라,
세 가지 유형 중 하나에 해당할 때만 세이브가 성립됩니다.
▶️ 세이브 요건 : 세 가지 중 하나 이상 충족 + 경기 마무리 필수
1. 리드 폭이 3점 이하인 상황에서 등판, 그리고 최소 1이닝 이상 투구한 경우
→ 가장 일반적인 세이브 상황
2. 등판 시점에 결승점 주자가 루상, 타석, 또는 온덱 서클(대기 타석)에 있을 경우
→ 이때는 점수 차가 4점 이상이어도 세이브 상황으로 인정됩니다
→ 즉, "위기의 순간에 등판했다"는 개념
→ 예시 : 6-2로 리드 중, 9회초 1사 만루 → 홈런 한 방이면 6-6
이때 등판한 투수가 경기를 끝내면 세이브 인정
3. 점수 차와 관계없이, 최소 3이닝 이상을 혼자 투구하며 리드를 지키고 경기 종료 시까지 책임진 경우
→ '롱릴리프 세이브'라고도 불림
→ 점수 차가 5점이든 10점이든 상관없음
✅ 세이브 상황 요약표
유 형 | 세 부 조 건 | 세 이 브 인 정 |
기본형 | 3점 이내 리드 + 1이닝 이상 마무리 | ✅ |
위기형 | 결승점 주자가 루상, 타석, 온덱에 있음 (점수 차 무관) | ✅ |
롱릴리프형 | 3이닝 이상 투구 + 마무리 | ✅ |
예외 상황 | 5점 차 리드 + 1이닝만 투구 | ❌ |
✅ 예시 상황
상 황 | 세이브 인정 여부 | 이 유 |
9회초 3-1 리드 상황에서 등판해 1이닝 무실점 | ✅ | 3점 이하 리드 + 1이닝 투구 |
8회말 6-2, 1사 1·2루 위기에서 등판해 경기 마무리 | ✅ | 결승점 주자 루상 → 세이브 상황 |
7회초 7-4 리드 상황에서 등판해 3이닝 마무리 | ✅ | 3이닝 이상 마무리 세이브 |
9회초 5-0 리드, 주자 없음에서 등판해 1이닝 투구 | ❌ | 점수차 3점 초과 + 위기 아님 |
9회초 4-0 리드 상황에서 등판, 볼넷 2개로 위기 자초 후 무실점 | ❌ | 등판 시점은 세이브 상황 아님 |
9회 2점 리드 상황 등판, 1이닝 투구 중 1실점하고 승리 | ✅ | 3점 이하 리드 유지하며 마무리 |
❗ 세이브 관련 오해 방지 포인트
- ‘결승점 주자’란?
상대 팀이 현재 공격에서 역전 혹은 동점을 만들 수 있는 주자를 말하며,
점수 차가 3점 초과일 때만 의미를 가집니다. - 예시:
팀이 6-2로 리드 중일 때, 1·2루에 주자가 있으면
→ 홈런 한 방에 6-5, 결승점 주자가 1루에 있음
→ 세이브 상황 인정 - "등판 시점"이 세이브 상황이어야만 성립!
즉, 투수가 등판 후에 위기 상황을 만든다 해도,
그건 세이브 성립 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홀드(Hold)란?
홀드는 팀이 앞서고 있는 '세이브 상황'에서 등판한 구원 투수가,
리드를 유지한 채 마운드를 다음 투수에게 넘겼을 때 부여되는 기록입니다.
세이브처럼 경기를 끝내지 않지만,
‘중간에서 위기를 넘기고 세이브를 가능하게 만든 기여도’를 인정하는 개념입니다.
▶️ 홀드 요건 : 다음 3가지 조건 모두 충족해야 함
- 세이브 상황에서 구원 등판
→ 리드 폭이 3점 이하이고 1이닝 이상 남은 상황
→ 점수 차와 무관하게 결승점 주자가 루상, 타석, 온덱 서클(대기 타석)에 존재하는 위기 상황
- 팀이 리드한 상태로 마운드를 내려올 것
→ 실점은 일부 허용되더라도 리드만 지키면 인정 - 경기를 마무리하지 않을 것
→ 경기 종료까지 던진 투수는 세이브 대상, 홀드는 받을 수 없음
✅ 홀드 상황 요약표
유 형 | 세 부 조 건 | 홀 드 인 정 |
기본형 | 3점 이내 리드에서 등판 → 리드 유지 후 교체 | ✅ |
위기형 | 점수차 상관없이 결승점 주자 존재 → 리드 유지 후 교체 | ✅ |
블론형 | 등판 후 리드 날림 → 재역전 하더라도 | ❌ |
경기 마무리 | 등판해 세이브 상황에서 경기를 마무리함 | ❌(세이브로 인정) |
✅ 예시 상황
상 황 | 홀드 인정 여부 | 이 유 |
8회초 5-3 리드, 1이닝 무실점 후 교체 | ✅ | 3점 이내 리드 유지 |
7회말 6-2 리드, 1사 만루 등판 → ⅔이닝 무실점 후 교체 | ✅ | 점수차 초과지만 결승점 주자 존재 |
8회초 6-2 리드, 주자 없음 등판 → 1이닝 무실점 후 교체 | ❌ | 세이브 상황 아님 |
7회 등판 후 5-3 리드 상황에서 2실점 허용, 5-5 동점 허용 후 교체 | ❌ | 리드 유지 실패 |
❗ 홀드 관련 주의사항
- 1경기에서 2명 이상이 홀드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 예: 7회 A 투수, 8회 B 투수 모두 리드 유지 후 교체 - 홀드는 일부 실점해도 인정됩니다.
단, 팀의 리드를 지킨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 세이브와 중복되지 않습니다.
→ 경기를 마무리하면 세이브 대상, 홀드는 사라짐 - 홀드는 팀이 승리한 경기에서, 승리 투수를 제외한 구원 투수가 리드를 유지했을 때 기록됩니다.
→ 리드 상황에서 홀드 조건을 채우고 교체되더라도, 팀이 역전패 한다면 홀드로 기록되지않음
✅ 세이브 vs 홀드 비교 요약
항 목 | 홀 드 (HLD) | 세 이 브 (SV) |
투수 유형 | 중간계투(셋업맨) | 마무리 투수 |
등판 상황 | 세이브 상황 | 세이브 상황 |
경기 마무리 여부 | ❌ 마무리하면 불인정 | ✅ 마무리 필수 |
리드 유지 여부 | ✅ 필수 | ✅ 필수 |
실점 허용 | ✅ 일부 허용 | ✅ 일부 허용 |
1경기 중복 가능 | ✅ 가능 (2명 이상) | ❌ (1명만) |
세이브와 홀드는
한 경기의 승리를 완성하기 위해
각자의 위치에서 책임을 다한 투수들에게 주어지는 기록이에요!
누군가는 마지막을 지켰고,
누군가는 그 마지막을 만들었죠 :D
이 두 기록을 함께 보면,
경기 흐름 속에서 어떤 투수가 언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가 보여요ㅎㅎㅎ
이제는 마지막 이닝뿐 아니라,
그 앞을 지켜낸 순간들에도 눈길을 보내보세요!
감사합니다 :)

'야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O 유니폼 문제점] 홈팀과 원정팀이 같은 색상의 유니폼을 입는다면 생기는 혼란과 대책은? (3) | 2025.04.20 |
---|---|
선발 투수 기록 완전정복 - 승리(W), 퀄리티 스타트(QS), 퀄리티 스타트 플러스(QS+) (0) | 2025.04.19 |
왜 한국 프로구단은 경기장을 직접 소유하지 못할까? - 우리는 왜 여전히 '빌린 구장'에서 뛰고 있을까? (3) | 2025.04.18 |
야구 포지션 번호의 모든 것 - 왜 유격수가 6번일까? (2) | 2025.04.16 |
야구 판정의 미래 - ABS(전자 스트라이크 존) 작동 방식과 스트라이크 존 기준 완전 정리 (5)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