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이야기

구원투수 기록 완전정복 - 세이브(SV) & 홀드(HLD) 기준 완벽 가이드

구기자® 2025. 4. 19. 14:17
728x90

안녕하세요 :)

 

야구에서 구원 투수는

단순히 던지는 역할을 넘어,
팀의 리드를 지켜내는 핵심 자원이에요!


이를 수치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기록이 바로

세이브(Save)와 홀드(Hold)입니다 :D

 

이번에는 이 두 기록이 어떤 조건에서 기록되는지,
그리고 실전에서 혼동하기 쉬운 포인트까지

정리해볼게요ㅎㅎㅎㅎ

 

함께 살펴볼까요?

 


 

✅ 세이브(Save)란?

24시즌 가장 많은 세이브를 기록한 기아 타이거즈 정해영 선수 / 이미지 출처 : 스포츠서울

 

세이브는 팀이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등판한 구원 투수가 그 리드를 지키며 경기를 마무리할 때 주어지는 기록입니다.

단순히 이기고 끝냈다고 무조건 세이브가 되는 게 아니라,
세 가지 유형 중 하나에 해당할 때만 세이브가 성립됩니다.

 

 

▶️ 세이브 요건 : 세 가지 중 하나 이상 충족 + 경기 마무리 필수

 

1. 리드 폭이 3점 이하인 상황에서 등판, 그리고 최소 1이닝 이상 투구한 경우
→ 가장 일반적인 세이브 상황

 

2. 등판 시점에 결승점 주자가 루상, 타석, 또는 온덱 서클(대기 타석)에 있을 경우
→ 이때는 점수 차가 4점 이상이어도 세이브 상황으로 인정됩니다
→ 즉, "위기의 순간에 등판했다"는 개념

예시 : 6-2로 리드 중, 9회초 1사 만루 → 홈런 한 방이면 6-6

              이때 등판한 투수가 경기를 끝내면 세이브 인정

 

3. 점수 차와 관계없이, 최소 3이닝 이상을 혼자 투구하며 리드를 지키고 경기 종료 시까지 책임진 경우
→ '롱릴리프 세이브'라고도 불림
→ 점수 차가 5점이든 10점이든 상관없음

 


✅ 세이브 상황 요약표

유  형 세 부  조 건 세 이 브  인 정
기본형 3점 이내 리드 + 1이닝 이상 마무리
위기형 결승점 주자가 루상, 타석, 온덱에 있음 (점수 차 무관)
롱릴리프형 3이닝 이상 투구 + 마무리
예외 상황 5점 차 리드 + 1이닝만 투구

✅ 예시 상황

상  황 세이브 인정 여부 이  유
9회초 3-1 리드 상황에서 등판해 1이닝 무실점 3점 이하 리드 + 1이닝 투구
8회말 6-2, 1사 1·2루 위기에서 등판해 경기 마무리 결승점 주자 루상 → 세이브 상황
7회초 7-4 리드 상황에서 등판해 3이닝 마무리 3이닝 이상 마무리 세이브
9회초 5-0 리드, 주자 없음에서 등판해 1이닝 투구 점수차 3점 초과 + 위기 아님
9회초 4-0 리드 상황에서 등판, 볼넷 2개로 위기 자초 후 무실점 등판 시점은 세이브 상황 아님
9회 2점 리드 상황 등판, 1이닝 투구 중 1실점하고 승리 3점 이하 리드 유지하며 마무리

❗ 세이브 관련 오해 방지 포인트

  • ‘결승점 주자’란?
    상대 팀이 현재 공격에서 역전 혹은 동점을 만들 수 있는 주자를 말하며,
    점수 차가 3점 초과일 때만 의미를 가집니다.
  • 예시:
    팀이 6-2로 리드 중일 때, 1·2루에 주자가 있으면
    → 홈런 한 방에 6-5, 결승점 주자가 1루에 있음
    → 세이브 상황 인정
  • "등판 시점"이 세이브 상황이어야만 성립!
    즉, 투수가 등판 후에 위기 상황을 만든다 해도,
    그건 세이브 성립 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홀드(Hold)란?

24시즌 가장 많은 홀드를 기록한 SSG 랜더스 노경은 선수 / 이미지 출처 : 연합뉴스

 

홀드는 팀이 앞서고 있는 '세이브 상황'에서 등판한 구원 투수가,
리드를 유지한 채 마운드를 다음 투수에게 넘겼을 때 부여되는 기록입니다.

세이브처럼 경기를 끝내지 않지만,
‘중간에서 위기를 넘기고 세이브를 가능하게 만든 기여도’를 인정하는 개념입니다.

 

 

▶️ 홀드 요건 : 다음 3가지 조건 모두 충족해야 함

  1. 세이브 상황에서 구원 등판
    → 리드 폭이 3점 이하이고 1이닝 이상 남은 상황
    점수 차와 무관하게 결승점 주자가 루상, 타석, 온덱 서클(대기 타석)에 존재하는 위기 상황
                              
  2. 팀이 리드한 상태로 마운드를 내려올 것
    → 실점은 일부 허용되더라도 리드만 지키면 인정

  3. 경기를 마무리하지 않을 것
    → 경기 종료까지 던진 투수는 세이브 대상, 홀드는 받을 수 없음

✅ 홀드 상황 요약표

유  형 세 부  조 건 홀 드  인 정
기본형 3점 이내 리드에서 등판 → 리드 유지 후 교체
위기형 점수차 상관없이 결승점 주자 존재 → 리드 유지 후 교체
블론형 등판 후 리드 날림 → 재역전 하더라도
경기 마무리 등판해 세이브 상황에서 경기를 마무리함 ❌(세이브로 인정)

✅ 예시 상황

상  황 홀드 인정 여부 이  유
8회초 5-3 리드, 1이닝 무실점 후 교체 3점 이내 리드 유지
7회말 6-2 리드, 1사 만루 등판 → ⅔이닝 무실점 후 교체 점수차 초과지만 결승점 주자 존재
8회초 6-2 리드, 주자 없음 등판 → 1이닝 무실점 후 교체 세이브 상황 아님
7회 등판 후 5-3 리드 상황에서 2실점 허용, 5-5 동점 허용 후 교체 리드 유지 실패

❗ 홀드 관련 주의사항

  • 1경기에서 2명 이상이 홀드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 예: 7회 A 투수, 8회 B 투수 모두 리드 유지 후 교체
  • 홀드는 일부 실점해도 인정됩니다.
    단, 팀의 리드를 지킨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 세이브와 중복되지 않습니다.
    → 경기를 마무리하면 세이브 대상, 홀드는 사라짐
  • 홀드는 팀이 승리한 경기에서, 승리 투수를 제외한 구원 투수가 리드를 유지했을 때 기록됩니다.
    → 리드 상황에서 홀드 조건을 채우고 교체되더라도, 팀이 역전패 한다면 홀드로 기록되지않음

✅ 세이브 vs 홀드 비교 요약

항  목 홀 드 (HLD) 세 이 브 (SV)
투수 유형 중간계투(셋업맨) 마무리 투수
등판 상황 세이브 상황 세이브 상황
경기 마무리 여부 ❌ 마무리하면 불인정 ✅ 마무리 필수
리드 유지 여부 ✅ 필수 ✅ 필수
실점 허용 ✅ 일부 허용 ✅ 일부 허용
1경기 중복 가능 ✅ 가능 (2명 이상) ❌ (1명만)

 


 

세이브와 홀드는

한 경기의 승리를 완성하기 위해
각자의 위치에서 책임을 다한 투수들에게 주어지는 기록이에요!


누군가는 마지막을 지켰고,

누군가는 그 마지막을 만들었죠 :D

 

이 두 기록을 함께 보면,
경기 흐름 속에서 어떤 투수가 언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가 보여요ㅎㅎㅎ


이제는 마지막 이닝뿐 아니라,
그 앞을 지켜낸 순간들에도 눈길을 보내보세요!

 

감사합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