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이야기

야수가 투수로? 투수가 야수로? – 야구에서 포지션 변경과 기록 처리의 모든 것

구기자® 2025. 4. 8. 16:20
반응형

안녕하세요 :)
 
야구를 보다 보면 가끔 이런 장면을 보게 되죠!

"어? 저 선수가 투수였는데 외야로 갔어?"
"야수가 마운드에 왜 올라왔지?"
 
처음 보면 다소 당황스러울 수 있지만,
사실 이건 규칙에 따라 충분히 가능한 장면이에요 :D
 
그래서 이번에는!
"야수와 투수가 서로 자리를 바꿨을 때 규칙은 어떻게 적용될까?"
"그 기록은 어떻게 남을까?"
"포지션을 몇 번이나 바꿔도 되는 걸까?"
이런 질문들을 한 번에 풀어볼 수 있도록ㅎㅎㅎ

실제 규칙과 기록 기준,
그리고 알아두면 유용한 야구 상식을
한 번에 정리해봤어요!ㅎㅎㅎㅎ
 
야구를 좋아하신다면,
또는 기록과 규칙에 관심 있으시다면
분명 재미있게 읽으실 수 있을거예요 :)
 
함께 살펴볼까요?

 


 

1️⃣ 야수가 투수로? 투수가 야수로? 가능할까?

👉 결론부터 말하자면 가능하다!
야구 규칙상 포지션 이동 자체는 허용되어 있고, 실제 경기에서도 드물게 등장하는 장면.
 

✅ 야수가 투수로 올라올 수 있을까?

투수로 등판한 김강민 선수 / 이미지 출처 : 스포츠동아

 
✔️ 가능하다. 다만 주로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등장 :

  • 대패 상황에서 투수 소모 방지 ⚠️
  • 연장전 등에서 불펜 고갈 💦
  • 투타겸업 선수 테스트 (ex. 오타니 쇼헤이) 🧲

  🧾 이 경우 투수로서의 모든 기록(이닝, 삼진, 실점 등)이 정식으로 남음.
 

✅ 투수가 야수로 나가는 건?
 

✔️ 이 또한 가능하다.

  • 전략적으로 투수를 외야로 보내고 다른 투수와 교체하는 장면도 가능.
  • 예 : 좌완 투수 → 좌타자 상대위해 우완으로 교체 → 타자 처리 후 다시 좌완 투수가 복귀

2️⃣ 한 번 교체된 선수, 다시 나올 수 있을까?

🚫 절대 안 됨!

  • ⚠️ 한 번 교체돼서 벤치로 물러난 선수는 그 경기에서 끝!
  • 포지션을 이동하는 건 괜찮지만, 선수 교체는 단방향.
  • 교체되면 다시 출전 불가. 몰래 다시 넣었다간 규정 위반, 몰수패 사유.

3️⃣ 경기 중에 타순을 바꾸는 건?

❌ 절대 불가! 타순은 고정!

  • 경기를 시작할 때 제출한 라인업 타순은 경기 종료까지 유지!
  • 타순을 어기면? → 타순 위반 (Batting Out of Turn) 규정 적용.

⚠️ 타순 위반 시 처리

  • 상대팀이 항의하면 : 타순 어긴 타자 무효 + 아웃 처리
  • 상대팀이 항의하지 않으면 : 그 타순이 그대로 진행

👉 따라서 더그아웃과 기록원은 타순 체크를 매우 엄격하게 함.


4️⃣ 감독이나 코치도 경기 나올 수 있을까?

🧢 감독·코치도 유니폼 입고 덕아웃에 있지만…
👉 선수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절대 출전 불가!
 

✅ 예외적으로 가능한 경우

  • 선수 겸 코치, 선수 겸 감독 등으로 등록된 경우엔 출전 가능!
  • 과거 KBO에서도 플레잉 코치가 존재했음
  • MLB의 피트 로즈는 실제로 선수 겸 감독으로 뛰기도 했음

⚠️ 하지만 현대 야구에서는 거의 보기 어려운 장면.


5️⃣ 포지션 이동 시 기록은 어떻게 될까?

📊 포지션이 바뀌면?
👉 그 순간부터의 역할에 따라 모든 기록이 정식으로 남는다!
 

✅ 야수가 투수로 등판하면

  • 투수로서의 이닝, 삼진, 실점 등 모든 투수 기록 반영

✅ 투수가 야수로 나가면

  • 외야 플라이 처리하면 수비 기록 (PO)
  • 타석 들어서면 타율, 안타 등 타격 기록도 모두 반영

📌 같은 경기 내에서 포지션이 여러 번 바뀌면
각 역할별로 구간을 나눠 정확하게 기록


6️⃣ 같은 이닝 중에도 포지션을 여러 번 바꿀 수 있을까?

✔️ 가능하다! 하지만 규정상 '투수 → 야수 → 투수' 같은 경우엔 한계가 존재.
 

✅ KBO 규정 핵심 🔍

“투수가 야수로 이동했다가 다시 투수로 복귀하는 것은 이닝당 1회까지만 허용

 
❌ 같은 이닝 내 무한 반복은 금지!

순   서 가 능   여 부
투수 → 외야수 → 다시 투수 ✅ 가능
투수 → 외야수 → 투수 → 외야수 → 투수 ❌ 불가 (이닝 내 1회까지만 허용)

👉 이 제한은 KBO 규정.
👉 MLB에서는 이닝 제한 없이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거의 안 씀.


7️⃣ 기록상 구체적으로 어떻게 남을까?

  • 투수로 던졌던 구간: 투수 기록
  • 외야수로 수비한 구간: 야수 수비 기록
  • 타석에 섰다면: 타자 기록

🧾 기록지에는 모든 포지션 변화와 역할 변경이 이닝별로 정확히 반영되며,
투수로 다시 올라왔을 경우엔 '두 번째 등판'으로 별도 표기됨.


🎯 마무리 요약

구   분 가 능   여 부 주 의 사 항
야수가 투수로 등판 ✅ 가능 기록 전부 인정됨
투수가 야수로 이동 ✅ 가능 야수 기록 인정됨
교체된 선수의 재출전 ❌ 불가 규정 위반
타순 변경 ❌ 불가 위반 시 아웃 선언 가능
포지션 변경 (경기 중) ✅ 가능 단, 이닝 내 투수 → 야수→ 투수는 1회로 제한 (KBO)

 


 

야구는 단순한 경기처럼 보이지만,
그 안엔 무수히 많은 규칙과 숨겨진 디테일이 있어요!

이번에 살펴본 포지션 변경과 관련된 규칙들도 마찬가지예요 :D
 
투수가 외야로, 야수가 마운드로 올라가는 장면은 가볍게 넘길 수도 있지만,
그 속에는 철저하게 짜여진 규정과 세심한 기록 관리가 함께해요ㅎㅎㅎ
 
앞으로 그런 장면을 보게 된다면,
"이건 그냥 변칙이 아니라, 전략과 규칙이 만나는 포인트구나!"
하는 시선으로 한 번 더 즐겨보세요ㅎㅎㅎ
 
감사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