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
야구를 보다 보면 이런 장면, 한 번쯤 보셨을 거예요!
“어? 수비수가 베이스 막았는데 이거 괜찮은 거야?”
“주자가 공 맞았는데 일부러 그런 거야? 방해 아냐?”
야구에서는 "방해"라는 개념이
경기의 판도를 좌우할 정도로 중요한 요소예요 :D
하지만 방해도 종류와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죠ㅎㅎㅎ
오늘은 주루방해와 수비방해의 차이,
그리고 코치·관중 등 제3자에 의한 방해까지
모두 알아보려해요!
함께 알아볼까요?
1️⃣ 주루방해 (Obstruction)
: 수비수가 공을 갖고 있지 않거나 공을 잡으려는 적극적인 동작이 없이, 주자의 주루를 방해했을 때
✅ 핵심 기준
- 수비수가 공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 공을 잡기 위한 명확한 움직임이 없으며,
- 주자의 정상적인 주루를 방해했을 경우
⚠️ 포인트
- 물리적 충돌은 필수 아님
→ 주자가 경로를 우회하거나 속도를 줄였다면 방해로 인정될 수 있음 - 수비가 플레이 중일 때는 방해 아님
→ 예: 유격수가 타구를 잡기 위해 움직이는 도중 주자와 충돌한 경우 → 정당한 수비
🔍 예시
- 1루수가 공 없이 베이스를 밟고 있어 주자가 슬라이딩하지 못함
- 포수가 공 없이 홈 플레이트를 막고 서 있음
- 3루수가 타구와 무관하게 주루 경로를 가로막음
▶️ 판정 및 조치
- 인플레이 상태 유지 후
- 심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진루 보상 부여 (Dead Ball 아님)
2️⃣ 수비방해 (Interference)
: 공격 측 인물(주자, 타자, 코치 등)이 수비의 플레이를 방해했을 때
✅ 핵심 기준
- 타자 또는 주자가 수비수의 포구, 송구, 플레이 동작을 방해
- 명백한 영향 또는 의도가 있었다고 판단될 경우
📂 세부 유형별 설명
(1) 타자에 의한 방해
- 포수가 2루 송구 시, 타자가 스윙 후 포수의 동작을 방해
- 도루 시 타자의 방망이 또는 몸이 포수의 송구 궤도를 가림
▶️ 타자 아웃 + 주자 귀루
(2) 주자에 의한 방해
- 주자가 더블플레이를 끊기 위해 슬라이딩 중 팔을 들어 수비수의 송구 방해
- 주자가 주루 중 송구 궤도에 고의적으로 머무르거나 회피하지 않음
▶️ 해당 주자 아웃, 병살 상황일 경우 타자주자까지 아웃 선언 가능
(3) 정상 주루 중 공에 맞은 경우
- 주자가 정상적인 경로로 전력 주루 중이었고, 수비수의 송구에 맞았을 때
→ 고의성이 없으면 수비방해 아님
→ 오히려 수비수가 주자의 위치를 고려해 송구해야 함
▶️ 판정 및 조치
- 수비 방해가 인정되면 즉시 데드볼 선언
- 방해한 주자 또는 타자 아웃
- 나머지 주자는 귀루 또는 심판 재량 진루
3️⃣ 주루방해 vs 수비방해, 어떻게 구분할까?
구분 항목 | 주루 방해 (Obstruction) | 수비 방해 (Interference) |
방해 주체 | 수비수 | 공격 측 (타자, 주자, 코치, 관중 등) |
피해 대상 | 주자 | 수비수 |
방해 행위 | 공 없이 주루 경로를 물리적으로 막음 | 포구 또는 송구 동작을 방해 |
데드볼 여부 | 아님 (플레이 후 진루 보상) | 맞음 (즉시 데드볼 선언) |
결과 | 주자에게 보상 진루 | 방해자 아웃, 상황에 따라 추가 아웃 |
4️⃣ 제3자(관중·코치)에 의한 방해는?
야구에서는 경기장 내 모든 요소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움직여야 해요.
관중이나 코치처럼 직접 플레이에 참여하지 않는 인물도 방해가 되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코치에 의한 방해 (Coach’s Interference)
✅ 대표 사례
- 코치가 슬라이딩 중 넘어진 주자를 물리적으로 일으켜 세움
- 3루 코치가 주자를 밀어서 홈을 밟게 함
- 코치가 경기 중인 공을 잡거나 건드림
▶️ 해당 주자 아웃 + 데드볼 선언
⚠️ 포인트
- 코치는 오직 지시와 신호만 가능,
신체 접촉이나 물리적 도움은 명백한 규정 위반
👥 관중에 의한 방해 (Spectator Interference)
✅ 구분해서 이해하기
- 관중이 수비수의 수비 동작(예: 플라이 포구)을 방해한 경우 → 수비방해
- 관중이 주자의 주루 경로에 물리적으로 개입한 경우(예: 관중 난입) → 주루방해에 준해 처리
▶️ 판정 기준
- 수비 방해 시 → 홈런 취소, 2루타로 수정, 타자 아웃 등
- 주루 방해 시 → 심판이 방해 없었을 경우 주자가 도달했을 지점으로 보상 진루
여러가지 방해 판정에 대해서 이해하는데
조금 도움이 되셨나요?ㅎㅎㅎ
야구는 단순히 치고, 달리고, 잡는걸로 끝나지않죠?
공격과 수비의 정교한 균형,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섬세한 규칙이
야구를 더 깊이 있게 만들어줘요 :D
다음에 야구 중계에서 “방해 판정”이 나올 때,
이 글이 여러분의 눈을 번쩍 뜨이게
만들어주길 바랍니다!ㅎㅎㅎㅎㅎ
감사합니다 :)

'야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수가 투수로? 투수가 야수로? – 야구에서 포지션 변경과 기록 처리의 모든 것 (1) | 2025.04.08 |
---|---|
투심 패스트볼 vs 포심 패스트볼, 같은 ‘패스트볼’인데 뭐가 다를까? (1) | 2025.04.04 |
WAR? WHIP? OPS? KBO 야구 기록·지표 정리 가이드 (0) | 2025.04.01 |
보크(Balk) 완전 정복! – 야구 속 미묘한 반칙, 정확히 알기 (0) | 2025.04.01 |
야구 사인의 진화 : 손 사인 vs 피치컴, 무엇이 더 나을까? (1)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