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쓰리피트 라인 완전 정복! 주루 범위, 방해 규정까지 한 번에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
야구 경기를 보다 보면
타자가 타격 후 1루로 전력질주하는 장면에서,
심판이 갑자기 아웃을 선언하거나,
논란이 되는 판정이 나오는 장면을 종종 보게 되죠?
“아니 왜 갑자기 방해라고 해?” 싶은 순간,
바로 그 배경에 있는 규칙이 쓰리피트 라인 규정이에요 :D

쓰리피트 라인은 야구장에서 눈에 잘 띄진 않지만,
1루에서 아웃/세이프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규정이자,
주루·수비 방해 판정의 기준선 역할을 해요!
이번에는 쓰리피트 라인의 의미부터 실제 적용까지,
헷갈리기 쉬운 부분들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볼게요 :)
함께 살펴볼까요?
1. 쓰리피트 라인이란?️
쓰리피트 라인은 홈플레이트에서 1루까지 주자가 달리는 구간에서,
1루 주루선 기준 오른쪽 3피트(약 91.4cm) 떨어진 곳에 그려지는 라인을 말합니다.
- 기준 : 1루 주루선
- 위치 : 기준선에서 오른쪽 3피트
- 폭 : 규정상 주자가 달릴 수 있는 공간은 3피트(약 91.4cm)
즉! 쓰리피트 라인 = 1루 주루선 오른쪽 3피트에 그어진 점선
2. 왜 있는 걸까?
주자가 수비수의 송구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예요.
- 수비수는 1루를 향해 송구
- 주자가 송구 궤도를 가로막으면 수비 방해 (Interference)
- 따라서 주자는 쓰리피트 라인 안에서 달리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3. 쓰리피트 라인 규정의 적용 범위
구 역 | 규 정 적 용 여 부 | 설 명 |
주루선~오른쪽 3피트 | ✅ 적용 | 주자가 달려야 할 규정 구간 |
주루선~왼쪽 3피트 | ❌ 적용 안 됨 | 규정에는 없지만 달릴 수 있는 주로임 (단, 방해 조심) |
오해 주의!
주루선 왼쪽 3피트 구역은 쓰리피트 라인 규정에 포함되지 않아요.
4. 규정 위반 시 어떻게 될까?
▶️ 타자가 쓰리피트 라인을 벗어났을 때
상 황 | 판 정 |
쓰리피트 라인 밖으로 달림 + 송구를 방해 | 수비 방해 → 아웃 |
쓰리피트 라인 밖으로 달림 + 방해 없음 | 정상 플레이 |
라인 안에서 달렸지만 공에 맞음 | 방해 아님 |
수비수 피하려고 라인 벗어남 | 예외 인정 → 무벌칙 |
5. 실전에서 자주 나오는 상황들
✅ 정당한 주루
→ 1루 주루선 오른쪽 3피트 라인 안쪽으로 달림
→ 송구 방해 없음
→ 정상 주루
❌ 라인 벗어나 송구 맞음
→ 주루선 왼쪽으로 달리다가 등이나 팔에 송구 맞음
→ 수비 방해 판정 가능 → 아웃
❕ 라인 벗어나도 방해 없으면?
→ 주루선 왼쪽으로 달렸지만, 송구 방해는 없음
→ 정상 플레이 (심판 판단에 따라 세이프 인정)
6. 반대로 수비수가 방해하면?
이건 중요한 포인트!
수비수가 쓰리피트 라인(혹은 주루선)을 일부러 막았다면?
→ 주루 방해 (Obstruction)로 간주됩니다.
⚠️ 주루 방해란?
- 수비수가 공도 없고, 타구도 처리 중이 아닌데
- 주자의 주로를 가로막아 진루를 방해하면 적용
✅ 그 결과는?
- 주자에게 최소 1루 자동 진루
- 상황 따라 더 진루 가능성 인정될 수도 있음 (심판 재량)
7. 쓰리피트 라인, 왜 이렇게 엄격할까?
야구는 "정확한 송구와 공정한 플레이"가 핵심인 스포츠.
주자가 제대로 주로를 지키지 않으면 1루에서의 아웃·세이프 판정에 치명적 영향.
그래서 쓰리피트 라인은 규정상 명확히 정해져 있고, 심판도 엄격하게 판정합니다.
쓰리피트 라인 규정은
타자가 타격한 공이 내야에서 처리되는 상황,
타자 주자와 송구 중 누가 먼저 1루 베이스에 도착하는지
그 긴박한 상황에서 수비 또는 주루 방해를
따지는 매우 중요한 규정이에요 :D

쓰리피트 라인은
공정한 플레이를 지향하며,
선수들의 부상을 방지하기위해 꼭 필요해요!
1루에만 그어져있는 선이
무엇인지 궁금하셨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ㅎㅎㅎㅎㅎ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