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여기서 희생번트!” 혹은
“세이프티번트 시도!”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되죠!
그런데 둘 다 번트인데… 도대체 뭐가 다른 걸까요?
이번에는 ‘번트’의 세계를 파헤치며,
희생번트와 세이프티번트의 차이를 쉽게 정리해볼게요 :D
함께 살펴볼까요?
🔨 번트란 무엇인가요?
번트(Bunt)는 타자가 스윙하지 않고, 배트를 공에 살짝 갖다 대는 타격 방식입니다.
공을 강하게 치지 않고 짧게 굴려 타자나 주자의 진루를 돕거나, 직접 출루를 노리는 전략입니다.
📌 주로 빠른 주자, 점수가 아쉬운 상황, 무사 또는 1사 주자 있는 상황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희생번트 (Sacrifice Bunt)
항 목 | 설 명 |
목적 | 주자의 진루 (타자는 아웃 예상) |
상황 | 보통 무사 또는 1사 주자 1루/2루 상황 |
결과 | 타자 아웃 + 주자 진루 성공 시 팀 득점 확률 상승 |
희생 인정 | 희생번트로 기록됨 (타자 타율에 영향 없음) |
💡 예시 :
1사 1루에서 타자가 1루 앞으로 번트 → 타자 아웃, 주자 2루 진루 성공
👉 타율에는 불이익 없음, 팀에 헌신하는 플레이
🔧 전략적 의미 :
득점 확률이 높은 1사 2루 상황을 만드는 데 집중하는 전통적인 팀플레이 전술입니다.
🚀 세이프티번트 (Safety Bunt)
항 목 | 설 명 |
목적 | 타자 본인의 출루 |
상황 | 수비 시프트가 느슨하거나 타자가 빠를 때 시도 |
결과 | 타자 출루 성공 시 히트로 기록됨 |
희생 인정 | ❌ 희생번트로 기록되지 않음 (실패하면 타율 하락) |
💡 예시 :
무사 주자 없을 때 3루 쪽으로 번트 → 3루수가 깊게 수비 → 타자 1루 세이프!
👉 출루 성공 시 히트로 기록
👉 실패하면 내야 땅볼 아웃과 동일하게 취급
🔧 전략적 의미 :
번트를 타격 전략의 일부로 사용하는 고급 기술입니다.
특히 좌타자 + 빠른 발을 가진 선수들이 자주 시도합니다.
❓ 그런데 ‘세이프티번트’라는 이름, 왜 그런 걸까요?
“타자가 세이프되는 게 보장되지도 않는데, 왜 ‘세이프티’라는 말을 쓸까?”
이건 많은 야구 팬들이 처음 궁금해하는 부분입니다.
✅ 용어의 유래와 뜻
‘세이프티(Safety)’는 여기서 ‘안전한 방식’, 즉 타자의 조심스러운 시도를 의미합니다.
✔️ 강한 스윙 대신 짧고 정확한 번트를 사용해 수비 위치나 빈틈을 노려 출루를 노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 “보다 리스크가 적은 접근”이라는 의미에서 safety라는 단어가 붙은 것이죠.
🧠 스퀴즈 번트에서 파생된 용어
비슷한 예로, 스퀴즈번트에서도 “세이프티 스퀴즈”라는 표현이 있는데요.
용 어 | 주자 행동 전략 | 특 징 |
세이프티 스퀴즈 | 타자가 번트를 댄 후 3루 주자가 출발 | 비교적 안전하게 홈을 노리는 방식 |
수이사이드 스퀴즈 | 타자가 번트 전에 주자가 돌진 | 매우 위험하지만 점수 확률 높음 |
👉 이처럼 “세이프티”는 결과가 아닌 플레이 스타일의 안정성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세이프티번트 역시 “안전하게 출루를 노리는 번트”라는 뜻이지,
“반드시 세이프된다”는 보장을 뜻하는 건 아닙니다.
⚖️ 희생번트 vs 세이프티번트 차이 한눈에 보기
항 목 | 희생번트 (Sacrifice) | 세이프티번트 (Safety) |
목표 | 주자 진루 | 타자 출루 |
타자 아웃 예상 | 예 (기꺼이 희생) | 아니오 (출루가 목적) |
성공 시 기록 | 희생번트 (타율 무관) | 안타 (타율 반영) |
실패 시 | 아웃 + 작전 실패 | 아웃 |
대표 상황 | 1사 1루, 1사 2루 | 무사 주자 없음, 수비 시프트 시 |
용어 의미 | 팀을 위한 희생 | 비교적 안전한 출루 전략 |
🧠 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번트 종류
드래그 번트
👉 달리면서 번트를 시도하는 고급 기술 (세이프티번트의 응용 형태)
스퀴즈 번트
👉 3루 주자가 홈으로 돌진하는 상황에서의 번트
- 세이프티 스퀴즈 : 번트 성공 확인 후 주자 출발
- 수이사이드 스퀴즈 : 번트 전에 주자가 돌진하는 위험한 전략
번트라고 해서 모두 '희생'하는 건 아니에요!
타자의 출루를 위한 공격적인 번트,
주자의 진루를 위한 팀 중심 번트,
두 가지가 모두 존재하죠 :D
앞으로 중계를 보실 때,
“지금은 희생번트 전략이네요” 같은 말을 들으면,
타자 본인의 의도와 경기 상황을 함께 따져보며
야구를 더 깊이 즐겨보세요!
감사합니다 :)

'야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자 앞에 떨어진 공, 왜 파울이 아닐까? 포수 앞 땅볼? - 홈플레이트·배터박스·발에 맞은 타구의 판정 기준 (1) | 2025.06.05 |
---|---|
타자가 세이프인데 안타가 아니다? - 야구 기록에서 자주 헷갈리는 '야수선택(FC)' 완벽 정리! (0) | 2025.06.05 |
불펜 운용 전략 완전 정복 - 마무리, 셋업맨, 롱릴리프… 그들은 언제, 왜, 어떻게 투입될까? (0) | 2025.05.28 |
타자의 발은 어디까지 허용될까? – 배터박스 규정 완벽 정리 (0) | 2025.05.28 |
야구 선수도 두려워하는 ‘입스(Yips)’란? - 익숙하던 동작이 더 이상 익숙하지 않게 되는 그 순간 (4) | 2025.05.21 |